본문 바로가기
시험정보

승강기 기능사 자격증, 초보부터 합격·취업까지 완전 정복

by 고고컴 2025. 7. 12.
반응형

승강기 기능사 자격증, 초보부터 합격·취업까지 완전 정복

 

승강기 기능사는 국내 86만 여 대 승강기의 설치·점검·유지보수를

 

책임지는 핵심 기술력을 검증하는 국가기술자격입니다.

 

안전 규제가 강화되고 신규·교체 수요가 늘면서 자격 보유 인력의 몸값도 동반 상승 중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험 준비 로드맵부터 합격 이후 커리어 설계까지,

 

처음 도전하는 분도 한 번에 이해하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산업 자격 및 개요

국내 승강기 산업 현황

설치 대수 : 2025년 5월 말 현재 875,238대가 운행 중으로, 전체 보유량 세계 7위 수준입니다.

 

매년 약 4 만 대가 신규 설치돼 중국·인도에 이어 신규 설치 3위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전년 대비 증가분 : 2024년 12월 31일 기준 공식 통계는 866,669대로 집계됐는데,

 

5개월 만에 8,500여 대가 늘어난 셈입니다.

 

핵심 원인

  1. 30 년 이상 노후기기 교체 주기 도래
  2. 초고층·복합개발 확산
  3. ‘교통약자 이동권’ 강화로 장애인용·피난용 수요 급증

 

산업 통계 데이터 확인 바로가기

 

정책·규제 환경

법령 핵심 내용 기능사와의 연계
승강기 안전관리법 설치·검사·유지관리 기준, 자체점검 의무화 기능사 취득 + 실무 4개월 이상이면 자체점검 담당자 등록 가능
승강기 산업 진흥법
(’24. 7 시행)
R&D·수출 지원, 실태조사·전문인력 양성 근거 마련 숙련 기능사→기사 · 산업기사로 승급 시 정부 지원 확대 기대
 
 
 

국가기술자격 체계에서 '기능사'

등급 주업무 최소경력 설명
기능사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점검·보수·시운전 현장 실무의 초입 관문. 안전관리법상 자체점검 담당(4 개월↑) 가능
산업기사 설치·검사·유지관리 감독 1 년 자체검사·공정관리 책임자
기사 설계·프로젝트 총괄·감독 3 년 법정검사·안전관리자 선임 요건 충족

진로 팁 : 기능사 취득 후 4년 실무 → 기사 응시 자격이 생기므로,

 

현장 경험을 빨리 쌓아 상위 등급으로 ‘점프’하는 것이 연봉 상승의 지름길입니다.

 

 

 

 

시험 구조 및 합격 기준

필기시험 (CBT) 세부사항

항목 세부 내용
방식 CBT (Computer-Based Test) – 전국 17개 고사장에서 터치스크린 PC로 응시
과목 ① 승강기 설치 ② 유지관리 ③ 안전관리 – 전 과목 혼합 출제, 총 60문항
문항/시간 4지 택일형 60문항, 60분
출제 비중 최근 공개 CBT 기출 분석 결과 설치 ≈ 40 % · 유지관리 ≈ 35 % · 안전관리 ≈ 25 %
※ 정확한 공식 배점은 비공개이나, 2024-2025 기출 복원(5회분) 통계치 기준
합격선 100점 만점 60점(과목 구분 없이 평균)
검정료 14,500원
즉시 결과 ‘제출’ 클릭 후 30초 이내 화면에 점수 확인 → 합격자는 발표일 09:00부터 Q-net 공식 확정
지참 준비물 공단 인정 신분증·수험표 + 허용 공학용 계산기(Casio FX-500/991 시리즈 등)

 

<주의사항>

  • 입실 마감 – 고사장마다 ‘시험 시작 30 분 전’까지 신분 확인을 완료해야 입실이 확정됩니다.
  • 부정 행위 – 전자기기 소지 적발 즉시 퇴실·3년 응시제한 조치 (국가기술자격법 §10).

 

 

 

실기시험 (작업형) 세부사항

구분 세부 내용
형태·시간 작업형 3시간 30분 – 2개 과제를 순차 수행
핵심 과제  와이어로프 끝단 압착·소켓 처리
 승강기 운전 제어회로 구성
채점 항목 △작업 안전수칙(10 %) △배선·토크·압착 정확도(60 %) △완성 품질 & 동작 확인(30 %)
– 한 항목이라도 0점 처리 시 자동 불합격
합격선 100점 만점 60점 이상
검정료 77,800원
준비물 니퍼·절연 드라이버(#2)·전선 스트리퍼·멀티미터·10 cm 자, 전동드릴(+#비트) 등 ※ 시험장 공구 대여 없음
채점 실격 - 배선 미고정 / 와이어로프 ‘꽃 만들기’ 미완성
- 안전장치 미복귀
- 감독위원 호출 후 3회 이상 불응

 

 

 

응시·합격 루프

필기 합격 → 실기 응시권 2년

2년 안에 실기를 통과 못 하면 필기 성적 자동 소멸.

 

동일 회차 재접수 불가

필기·실기 모두 낙방 시, 다음 회차부터 다시 전 과정 응시.

 

성적 이의제기

필기 CBT는 이의신청 기간(발표 + 3일) 운영, 실기는 채점표 열람만 가능.

 

부정행위 제재

적발 즉시 해당 시험 무효 + 3년간 국가기술자격 응시 정지 (국가기술자격법 §10 ⑥).

 

 

 

 

연간 일정 & 접수 절차

2025년 정기검정 전체 타임라인

회차 구분 원서 접수 시험 기간 발표일(09시)
제 1 회 필기 1 월 6일(월) 10:00 ― 9일(목) 18:00
(빈자리 접수 1월 15일 – 16일)
1월 21 – 25일 2월 6일
실기 2월 10 – 13 일
(빈자리 3 월 9 – 10 일)
3월 15 – 4월 2일 4월 11일
(최종 확정 4 월 18 일)
제 2 회 필기 3월 17 – 21일
(빈자리 3 월 30 – 31 일)
4월 5 – 10일 4월 16일
실기 4월 21 – 24일
(빈자리 5 월 25 – 26 일)
5월 31 – 6월 15일 6월 27일
(7 월 4 일 마감)
제 3 회 필기 6월 9 – 12일 6월 28 – 7월 3일 7월 16일
실기 7월 28 – 31일 8월 30 – 9월 17일 9월 26일
(9 월 30 일 마감)
제 4 회 필기 8월 25 – 28일 9월 20 – 25일 10월 15일
실기 10월 20 – 23일 11월 22 – 12월 10일 12월 19일
(12 월 24 일 마감)

 

2. 2025년도 국가기술자격 검정시행계획.pdf
1.22MB

 

온라인 원서접수

단계 화면 / 액션 실수방지 Tip
1 Q-net 회원가입 → 공동인증서 손쉽게 연동 실명 불일치 즉시 차단 → 사전에 주민등록번호·이름 정확히 확인
2 자격 검색 → ‘승강기 기능사’ 선택 PC·모바일 동시 가능 (모바일 Safari 보다 Chrome 권장)
3 시험 회차 선택 → 고사장·일자 지정 CBT 좌석은 실시간 선착순 → 접수 오픈 10:00에 로그인 대기
4 증명사진 업로드 (300×400 px, 150 dpi) 2년 동안 재사용 가능 → 배경은 밝은 단색 권장
5 공학용 계산기 모델 선택 Casio FX-500/991 등 허용 기종만 선택 가능 미등록 모델 지참 불가
6 검정료 결제 (카드·계좌이체·간편결제) 결제 완료 후 ‘접수번호’ 나오면 접수 성공 캡처 보관
7 수험표 확인·출력 (접수 익일 09 시부터) 시험 전날 QR 수험표도 모바일 저장 필수

 

승강기 기능사 접수 및 정보 바로가기

 

 

 

합격 후 커리어 및 연봉

주요 진출 분야

벨류체인 대표직무 필요역량 / 우대자격 채용 형태
설치 현장 시공·시운전 테크니션 배선·기계조립, 고층 설치 안전 대형 제조사 직영·1차 협력사 정규직
유지보수 월·분기 점검, 고장수리, 자체점검 대행 Trouble-shooting, 고객응대 독립 유지관리업체·제조사 서비스센터
안전검사 정기·정밀검사, 성능시험 승강기 기사 이상, 법령 숙지 한국승강기안전공단·민간 검사기관
시설관리 빌딩·지하철·공공시설 승강기 전담 다설비(전기·HVAC) 융합 운영 계약직+교대 수당, 신세계·롯데 등 대형 유통사
스마트모니터링 IoT 게이트웨이 설치·데이터 분석 PLC, MQTT, Python 기초 스타트업·제조사 DT 전환팀
산업 키워드 : 노후 교체, 원격모니터링, 스마트빌딩, 고속 · 초고층 수요

 

 

 

연봉(채용정보 기준)

경력 조직중소 유지관리사 상위 5대 제조사 직영팀 검사·공공기관
신입 (0-2 년) 3,200만원 ±300
▶ 가야엘리베이터 Avg 3,489 만 원
3,800 만 원 3,600 만 원
주임·대리 (3-5년) 3,800 만 원 4,300 만 원 4,500 만 원
과·차장 (6-9년) 4,300만원
▶ 삼정엘리베이터 Avg 4,532만원
5,000 만 원 5,700 만 원
팀장 / 검사원
(10년↑)
4,800만원 (상한 6,000)
▶ JobKorea 구인
6,500 만 원 6,440 만 원(한국승강기안전공단 평균)

해외 평균 — Elevator Mechanic 평균 6,810 만 원 / 신입 4,840 만 원 / 10년↑ 8,480 만 원 (SalaryExpert, 2025)

 

 

 

프리랜서 및 창업

모델 수익 구조 준비 요건 리스크·대응
자가 유지관리업 등록 아파트·상가 당 월 18~25 만 원×40대 ▶ 年 9,600 만 원 기능사+4개월 경력 + 산업기사 팀장 1명 민원·24h 대기 → IoT 모니터링 장착(대당 8 만)
자체점검 대행 1회 12-15 만 원, 월 평균 30대 ▶ 年 5,400 만 원 기능사+4개월·보험 과태료 책임 분담 – 계약서에 ‘관리주체 책임’ 명시
스마트 도어·인버터 특화 수리 고장 1건 30-60 만 원 고속엘리베이터 교육 부품 원가 高 → 제조사 연동 AS 계약

 

 

 

 

FAQ

Q. 필기 합격 후 실기 유효기간은?

 

A. 2년. 기간 내 불합격 시 필기부터 재응시해야 합니다.

 

Q.  독학으로도 가능할까요?

 

A. 전기·기계 기초가 부족해도 기출 중심 학습 + 40시간 이상 실습을 확보하면 합격률 60 % 이상 달성 사례가 다수입니다.

 

Q.  작업형 공구 규격이 궁금해요.

 

A. 절연드라이버(-), 십자드라이버(#2), 150 mm 니퍼, 전선 스트리퍼, 디지털 멀티미터(교정값 확인) 등

 

Q-net ‘지참준비물’ 공지 목록을 그대로 가져가면 됩니다.

 

 

 

 

승강기 기능사는 한 번의 도전으로 평생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기술 자산입니다.

 

오늘 안내 드린 시험에관한 내용으로 시험 준비에 도움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