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폐가전 무상수거 신청하는 법|무료 수거 대상·절차·주의점 총정리

by 고고컴 2025. 7. 16.
반응형

폐가전 무상수거 신청하는 법|무료 수거 대상·절차·주의점 총정리

 

 

이사날이 다가오는데 고장난 냉장고·세탁기·TV를 버리려니 난감할 수 있습니다.

 

대형폐기물 스티커 값도 만만찮고, 직접 운반하기엔 무게가 부담일 수 있습니다.

 

다행히 정부가 운영하는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예약만으로도

 

기사님이 집 앞까지 방문해 냉장고·세탁기·TV를 무료로 실어 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돈 안 들이고 대형 가전을 버리고 싶은 사람”이 반드시 알아야 할

 

대상 품목, 온라인·전화 신청 순서, 방문 전 준비사항을 단계별로 안내드리겠습니다.

 

환경부 공식 포털 바로가기

 

 

 

 

폐가전 무상수거 대상품목

구분 무료 수거 대상(예시) 거절되는 경우
냉장·냉동 양문형·김치냉장고·미니 냉동고 산업용 쇼케이스, 냉매 제거된 빈 껍데기
세탁·건조 일반·드럼세탁기, 의류건조기 탈수통만 분리된 상태
TV·모니터 CRT·LCD·LED TV, 27인치↑ 모니터 액정 깨진 상태로 유리 조각 분리 불가
에어컨 실내기·실외기 세트 실외기만 분리돼 냉매 누출·심한 파손
중형 가전(한 변 1m↑) 식기세척기, 전기오븐, 러닝머신 등 1m 미만·5대 미만 소형 가전만 단독 신청

핵심 : 대형 1대 + 중·소형 5대 이상이면 100 % 무료. 소형 가전 1~4개만 신청하면 거절되므로 꼭 묶어서 예약한다.

 

 

 

 

신청 절차 - “돈 안 들이고 예약 방법”

1단계 사이트 접속 또는 전화

  • 15990903.or.kr → 회원가입 없이 ‘예약하기’ 클릭
  • 전화 1599-0903 (평일 09:00-18:00)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2단계 품목·수량·주소 입력

  • 대형 냉장고 1 + 소형 전자레인지 4처럼 묶음 등록
  • 희망 수거 날짜는 신청일 기준 최소 3일 뒤부터 선택 가능

 

3단계 예약 완료 SMS 확인

  • 신청 번호·방문예정일·담당기사 연락처 자동 발송

 

4단계 방문 전날 자가 준비

  • 전원 차단·물기 제거 후 현관 통로 확보
  • 벽걸이 TV, 에어컨 실외기는 미리 분리(기사 해체 불가)

 

5단계 방문 수거 및 확인서 수령

  • 기사 2인 1조 방문, 현장 확인 후 운반
  • 필요 시 ‘수거확인서’ 전자발급 → 이사·보증금 반환 증빙에 활용

 

 

 

 

방문 준비 체크리스트(당일 아침 10분 정리)

  • 플러그 뽑기 → 30분 이상 방치(전해액·냉매 안정)
  • 세탁기·건조기는 호스 분리 후 물기 제거
  • 실내 통로 80cm 이상 확보(문짝·난간 장애물 치우기)
  • 파손 방지를 위해 도어·뚜껑 테이핑
  • 공동현관 출입번호(비밀번호) 필요 시 기사에게 사전 전달

 

 

 

 

 

비용 비교 - “무료”와 “스티커 배출”

항목 무상방문수거 대형폐기물 스티커
냉장고 600L 0원 15,000원(서울 기준)
세탁기 0원 7,000원
TV 55인치 0원 5,000원
운반 기사 방문 수거 신청자 직접 운반
자원 처리 분해·재활용률 90 % 매립·소각 비중 높음

 

 

 

 

자주 묻는 질문(FAQ)

Q. 대형 가전 1대뿐인데 무료인가요?

 

A. 냉장고·세탁기·TV·에어컨 같은 ‘4대 가전’은 1대만으로도 무료 대상입니다.

 

 

 

Q. 제품이 오래돼 녹슬었는데 수거될까?

 

A. 외관 녹·찌그러짐은 문제없습니다. 다만 냉매·모터가 완전히 제거돼 내부가 비어 있으면 거절될 수 있습니다.

 

 

 

Q. 주말 수거 가능한가요?

 

A. 토요일은 지역별 인력 상황에 따라 제한적입니다. 예약 캘린더에 주말 슬롯이 보이면 신청 가능합니.

 

 

 

Q. 취소·변경 수수료는 얼마인가요?

 

A. 수거일 1일 전 17시까지 무료 변경·취소 가능. 이후 당일 변경은 콜센터로만 가능합니다.

 

 

 

Q. 사업장도 무상인가요?

 

A. 아닙니다. 서비스 대상은 가정용 폐가전입니다. 사업장은 지자체 유료 배출을 이용해야 합니다.

 

 

 

 

 

달라지는 점 (예고)

  • 예약 간격 단축 : AI 배차 도입으로 접수→수거 평균 대기일 3일→1일 단축 예정
  • 소형 가전 기준 조정 검토 : 5대→3대 이하 유료화 논의 중
  • 서비스명 변경 : ‘폐가전 무상방문수거’→‘E-순환 홈픽업’ 리브랜딩

 

→ 소형 가전은 되도록 모아서 한 번에 예약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대형 가전을 비용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정부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오늘 안내해 드린 신청 순서와 준비 요령만 지키면 냉장고·세탁기·TV도 번거로움 없이 해결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정부지원 글도 이어서 확인하시고, 필요할 때 다시 찾을 수 있도록 북마크해 두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